로그인
회원가입
스타트업
블록체인
뉴스
행사
규제/법규
뉴테크
문의/제보
뉴스
검색
전체 7,547건 / 473 페이지
오래 전
'유력 액셀러레이터와이콤비네이터'가 '스테이블코인' 스타트업을 키우고 싶은 이유는?
'와이콤비네이터'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B2B 및 컨슈머 제품, 파이낸스를 위한 플랫폼, 프로토콜 개발팀에 투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경제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하며, 이 변화는 음악 시장을 변화시킨 것과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시가 총액은 1400억달러이며, 매일 거래되는 규모는 490억달러에 이른다. 테더 USDT가 시장의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USDC가 20%를 차지하고 있다. 와이콤비네이터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현재 규모보다 훨씬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8%에 불과하지만,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미래가 기대된다고 디파이언트는 전했다.
인기
오래 전
'부테린, 이더리움 기술적 위험 AI로 대응'
이더리움(ETH) 공동 창업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AI가 이더리움 개발자들을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부테린은 AI를 활용한 코드 검증과 버그 발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이더리움의 기술적 위험은 코드 버그에 있다고 설명했다. 부테린은 암호화폐와 AI의 중첩 가능성을 분석한 후 AI가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부테린은 오픈 소스가 모델을 안전하게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지만, AI 모델은 기계 학습 공격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분석가들은 AI와 웹3 혁신이 결합하면 2024년에 번성하는 암호화폐 부문이 출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분석가 산드라 레오는 AI와 웹3를 결합한 AI 에이전트의 개발을 강조했으며, 모듈러스 랩스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 검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언급했다.
인기
오래 전
'월드코인, 일주일간 176% 상승! 월드앱 일일 사용자 100만 돌파'
'오픈AI(OpenAI) CEO 샘 알트만이 공동 창립한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WLD)의 일일 사용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월드코인은 최초의 지갑인 월드 앱의 일일 사용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1월의 10만 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오픈AI는 최근 새로운 텍스트-비디오 생성기 소라(Sora)를 공개하여 사용자가 텍스트 프롬프트에서 비디오 클립과 장면을 생성할 수 있게 했다. 이로 인해 월드코인의 사용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가격도 상승했다. 현재 월드코인은 7.31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전보다 18.81% 상승한 가격이다. 주간 상승률은 176.73%에 달한다.'
인기
오래 전
'코빗·고팍스, 수수료 면제 언제까지?'
업계는 최근 중단한 무료 수수료 정책을 다시 중단할 가능성이 있는데, 코빗과 고팍스도 해당 정책을 21일과 25일에 중단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수입원이 수수료인 점을 고려할 때 영업손실을 감수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빗썸은 작년 10월 4일부터, 코빗은 같은 달 20일부터, 고팍스는 24일부터 거래 수수료를 면제했지만, 이들이 무료 정책을 바로 중단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점유율 감소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코빗 관계자는 '무료 수수료 정책을 언제까지 진행할지 확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고팍스 측도 '무료 수수료 정책이 회사 입장에서는 부담스럽지만 모객을 위해서는 당장 중단이 어렵다'고 전했다. 양사는 무료 수수료 정책 종료 이후 경쟁력 있는 수수료를 책정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수수료율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코빗 관계자는 '고객 이탈을 막고 적절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수료율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고, 고팍스 관계자는 '빗썸과 같이 낮은 수수료율을 제시하기 어려우나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리워드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기
오래 전
'코인원, 10주년 기념 투자자 보호와 블록체인 혁신'
코인원은 10주년을 맞아 '코인원 10년의 기록' 그래픽을 공개했다. 2014년 출범 이후 누적 거래액은 452조원, 회원 수는 293만명에 이른다. 창립 1주년 대비 거래액은 64만 5천 배, 회원 수와 임직원 수는 각각 944배, 25배 상승했다. 코인원은 이더리움 거래를 최초로 지원한 것을 시작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에 새로운 투자 방식을 제시했다. 보안 면에서 10년간 무사고를 기록하며 정보보호 대상을 수상하고 개인정보보호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했다. 미래 비전으로 '투자자 보호'와 '블록체인 혁신'을 내세우며 규제 준수에 노력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인기
오래 전
'월드코인'에 샘 알트먼 참여, 하루 100만 사용자 돌파!
'19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월드코인은 전날 엑스(트위터) 게시물을 통해 '월드코인의 일일활성사용자(DAU)가 지난해 11월 10만명에서 크게 성장한 100만명 이상을 기록했다'라고 발표했다. 월드코인은 인간과 인공지능(AI)을 홍채 스캔을 통해 구분한 대가로 자체 토큰을 지급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다. 이들의 목표는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블록체인을 통한 보편적 기본 소득을 보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오브(Orb)라는 홍채 인식 기구를 통해 개인의 홍채를 데이터화해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실제 인간으로 확인되면 월드 ID가 생성된다. 이 월드 ID로 가상자산 지갑인 '월드앱'을 통해 '월드 코인'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오브는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규제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홍콩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WLD의 홍콩 운영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고, 케냐는 월드코인 서비스를 금지했다. 인도에서도 오브의 홍채 스캔 작업이 일시 중단된 상태다. 여러 우려와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난주 월드코인 토큰은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호조를 따라 141% 이상 상승했다.'
인기
오래 전
1년 만에 유통량 3배 ↑, 계획 유통량 30% ↑
'뉴스1'에 따르면 지난달 180억 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탈취당한 썸씽이 유통계획을 1년여 만에 세 차례나 변경해 비판을 받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소식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씽잉 콘텐츠 플랫폼 썸씽은 지난달 27일 180억원 상당의 썸씽 토큰(SSX) 7억3000만개를 탈취당했다. 이는 썸씽의 시가총액 중 23%에 해당한다. 유통 계획상의 물량 초과로 인해 4억8900만개의 썸씽 토큰이 추가로 유통되었지만, 이에 대한 소각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성대학교 교수인 조재우는 썸씽의 유통량 변경 이력을 비판했다. 썸씽은 업비트 상장 당시 발표한 유통계획을 변경해왔는데, 이로 인해 썸씽 토큰의 유통량이 1년여 만에 상당히 증가했다. 조 교수는 이러한 계획 변경이 투자자들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썸씽 측은 유통계획 변경과 관련한 질문에 답변을 거부하고 있으며, 가상자산 탈취 사건 이후의 로드맵 변경 여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한편, 썸씽은 가상자산 탈취 사건으로 인해 디지털자산거래소 협의체(DAXA)의 결정에 따라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었으며,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이 연장되었다. 닥사는 썸씽으로부터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어 추가 소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닥사는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을 오는 27일까지 연장했다.
인기
오래 전
'코인원' 10주년 이벤트! 거래하면 당첨 기회!
'코인원'이 10주년을 맞아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며, 기간 내 1회 이상 거래 시 추첨을 통해 2만원 상당의 스타벅스 e카드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참여 방법은 거래 후 이벤트 코드 등록과 마케팅 수신동의를 하고 혜택을 유지하는 것이다. 미션 달성 순서는 상관없으며, 이벤트 코드는 코인원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0명이 추첨되어 3월 5일에 발표 및 혜택이 지급될 예정이다.
인기
오래 전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 디버깅 AI로 해결 가능해!
'19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부테린은 전날 엑스(트위터) 게시물을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버그 코드를 식별하고 수정하는 AI 기반 감사에 대한 기대를 표현했다. 이는 이더리움이 오는 3월 13일 출시 예정인 덴쿤(Dencun)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나온 의견이다. 덴쿤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의 고질적 문제인 네트워크 혼잡과 높은 거래 수수료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거래 수수료가 감소하면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전체 확장성이 향상되어 가상자산 ETH의 가격 상승을 견인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테린이 발표한 AI 기반 버그 코드 탐지 도구에 대한 모두의 낙관적인 시각은 아니다.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 서틱(CertiK)의 최고 보안 책임자 강 리는 인터뷰에서 '코딩 시 챗GPT와 같은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면 오히려 더 많은 보안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AI는 개발자에게 코드의 의미를 빠르게 설명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에 숙련된 코더의 보조 도구로만 사용해야 한다'고 권장했다.'
인기
오래 전
'라인 넥스트'가 '리드온'과 제휴합니다.
라인 넥스트와 리드온은 파트너십을 통해 도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리드온은 '리드온 다오(ReadON DAO)'라는 R2E(Read to Earn) Web3 앱을 운영하며, 사용자들이 뉴스, 블로그, 기사, 게시물을 읽음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번 협업에서는 리드온의 캐릭터 카토(Catto)와 협력하여 디지털 상품과 도시 X 리드온 패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라인 넥스트는 지난 1월 도시의 웹 버전과 모바일 앱을 출시한 바 있으며, 앞으로도 웹3 대중화를 목표로 사용성을 확장하고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여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디지털 상품의 혜택을 전달할 계획이다.
인기
오래 전
'탈중앙화 롤업 프로토콜 알트레이어, 1440만달러 투자'
알트레이어는 최근 자금을 확보하여 팀 규모를 확대하고 롤업 인프라 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이전에 알트레이어가 자체 토큰을 발행하고 셀레스티아와 아이겐레이어에 스테이킹한 사용자들, NFT 보유자들, 그리고 커뮤니티 캠페인에 참여한 이들에게 보상을 제공한 이후 이루어졌다. 알트레이어는 개발자들이 OP 스택, 아비트럼, 폴리곤 CDK와 같은 소프트웨어 스택을 활용하여 롤업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중앙화 프로토콜이다. 또한, 알트레이어는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아이겐 레이어 리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리스테이크드 롤업' 레이어2 프로젝트를 곧 선보일 예정이다.
인기
오래 전
'개미들이 돌아오고 있다!'
블록체인투데이 김재민 기자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ETF의 영향으로 소규모 투자자들이 조금씩 암호화폐 시장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코인베이스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7분기 연속 순손실에서 벗어났으며,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의 순 소비자 거래 수익은 작년 4분기 대비 60%, 3분기 대비 80% 증가했습니다. 암호화폐 분석가 알리사 추는 '개인 투자자들이 코인베이스로 돌아오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소매거래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로빈후드는 지난해 12월 암호화폐 거래량이 전년 대비 242%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22년 암호화폐 가격 붕괴 이후 돈을 잃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 출시를 둘러싼 열기 덕분에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ARCA의 한 트레이더는 '소매 고객이 시장으로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는 조짐이 있지만, 아직 마지막 강세장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인기
오래 전
'트레이더 '비트코인, 4월 말까지 7만달러 돌파 20%''
'라이라 파이낸스(Lyra Finance)에 따르면 4월 말까지 비트코인(BTC)이 7만 달러를 넘을 확률은 5분의 1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라이라의 설립자 닉 포스터는 비트코인이 4월 26일까지 7만 달러 이상에 도달할 확률을 약 20%로 예측했다. 이에 라이라의 거래자들은 최근 비트코인이 5만 달러를 넘을 것을 예측하고 포지션을 취했다. 그러나 4월 말까지 비트코인이 7만 달러를 넘을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도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35% 상승하여 2021년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4월에는 4년 주기 채굴 보상 반감기가 예정되어 있다. 라이라는 전 세계 분산형 거래소(DEX) 옵션 거래량의 50%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분산형 암호화폐 옵션 시장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의 가격 동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기
오래 전
국내 코인 프로젝트 해킹 사고, '미카'처럼 보안 강화 필요'
국내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인 플레이댑은 최근 해킹 공격으로 플레이댑(PLA) 토큰이 무단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고, 관련 거래소들도 경고를 내리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법률로는 코인 발행기업을 규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유럽의 미카(MiCA)와 같이 규제법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행 법으로는 코인 발행기업과 사체업자 간의 구분이 모호하며, 보다 강력한 보안 규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인기
오래 전
태국 총리, 스위프트 싱가포르 콘서트 의혹.
'지난 16일 현지시간 기준으로 태국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총리 스레타 타위신은 17일 방콕에서 열린 비즈니스포럼에서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가 싱가포르에서만 개최되는 이유에 대해 '싱가포르 정부가 스위프트에게 재정적 유인을 제공한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밝혔다. 타위신 총리는 싱가포르가 스위프트에게 공연당 200~300만달러(약 26억7080~40억원)를 제안했다는 소문을 듣고 이를 주장했다. 이에 따라, 스위프트는 오는 3월 2~4일과 3월 7~9일에 싱가포르 국립경기장에서 '디 에라스 투어' 동남아시아 무대를 펼치게 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스위프트의 전국투어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싱가포르가 최종 공연지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는 싱가포르에서만 열리게 되었다.'
인기
검색
처음
이전
471
페이지
472
페이지
열린
473
페이지
474
페이지
475
페이지
476
페이지
477
페이지
478
페이지
479
페이지
48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스타트업
블록체인
뉴스
행사
규제/법규
뉴테크
문의/제보